초록 열기/닫기 버튼
스타트업은 혁신적 기술과 새로운 창업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창업하는 과정에서 조직의 역량 강화 및 성과를 창출해야 하는데, 그 과정에 필수불가결한 기업가정신에 대해 활발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필리핀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스타트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가적 지향성과 기업의 재무적 및 비재무적 성과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 자본을 매개변수로 하여 이것이 기업의 성과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필리핀 93개의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완료하였으며, 필리핀 기업에 대한 탐색적인 목적으로 PLS-SEM 기반의 구조방정식모델로 활용하여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필리핀 스타트업의 기업가적 지향성은 기업의 재무적 및 비재무적 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필리핀 스타트업의 기업가적 지향성은 사회적 자본의 구조적, 인지적, 그리고 관계적 차원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자본의 관계적 차원이 기업가적 지향성과 기업의 재무적 및 비재무적 성과와의 관계를 모두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업가적 지향성은 사회적 자본을 통해 스타트업의 성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기업가적 지향성이 국내 및 미국과 같은 국가뿐 아니라 개발도상국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중요 요인임을 재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전략적 지향성의 개념과 같이 보다 통합적인 관점에서의 연구 필요성을 규명하였으며, 분석된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Based on innovative technologies and new start-up ideas, startups have been actively researched on the entrepreneurship needed to strengthen the organization's capabilities and generate results in the start-up process. This study studied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the performance of startups in the Philippines and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of enterprises. This study carried out not only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o the performance of Filipino startups but also the role of social capital as parameters in the performance of enterprises. The empirical research was completed for 93 Philippine startups and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was evaluated with a PLS-base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confirmed that the enterprise orientation of Philippine startups has a positive impa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of the enterprises. Second,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Philippine startup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the structural, cognitive and relational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Third, it was found that the relevant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mediated both the corporate orient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of the entity.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s been confirmed to be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startups through social capital. These findings reaffirmed that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s still a valid important factor in developing countries as well as in countries such as Korea and the United States. Based on this study, we have identified the need for research from a more integrated perspective, such as the concept of strategic orientation. Finally,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o reflect the findings analyzed.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Philippines, Startup, Entrepreneurial Orientation, Social Capital, PLS-SEM